반응형
경기는 언제 좋아지는 거야?
궁금하시죠.
좋아지는지 나빠지는지 어떻게? 뭐로 아는 걸까요?
경기동향지수
를 보면 됩니다.
풀어보면
'경제가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는지 숫자로 나타낸' 겁니다.
동향 지수가 증가하면 경제가 좋아지고 있다는 뜻입니다.
투자나 고용 확대 등을 계획해 볼 수 있겠죠.
반대로 낮아지면 침체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.
기준이 있어?
지수 구하는 지표는 여러개 인데요.
10개일 때 중간은 50입니다.
50보다 높으면 경기가 확산-좋아질 걸 기대하고,
낮으면 나빠지겠다고 하는 거죠.
우리 모두 경기에 상관없이 돈 버는 사람이 됩시다.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전 포스팅은 가산금리였습니다.
10초 완성 초쉬운 경제용어 가산금리란?
加 [더할 가] + 算 [셈할 산] 추가해서 계산한다는 뜻 아파트 담보 대출받으면 이자 내잖아요? 저와 여러분은 기준금리 + 가산금리가 합친 금액을 이자로 내야 합니다. 크게 보면 개인 신용도와 대
taro-saju.tistory.com
반응형
'Knowledge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초 경제용어 고용률이란? 알면 ㅇㅇ에 좋습니다 (0) | 2023.08.23 |
---|---|
경상수지란? 흑자만 계속되면 좋은걸까? (0) | 2023.08.22 |
10초 완성 초쉬운 경제용어 가산금리란? (0) | 2023.08.20 |
<돈의 속성> 김승호 경제용어 '금융 문맹테스트' (0) | 2023.08.20 |
결제 VS 결재 정확히 구분하는 팁 (0) | 2022.10.23 |
댓글